질문답변

왜 다시 '책읽기'일까?…'SBS스페셜' 난독시대 문해력·사고력을 올릴수 있는 방법

페이지 정보

작성자 온세송 작성일19-07-21 05:56 조회219회 댓글0건

본문

>

[아이뉴스24 정상호 기자] 우리는 매일 많은 시간을 스마트폰과 인터넷을 켜두고 끊임없이 새로운 정보를 소비한다. 지식은 더 이상 기억에 저장해두는 것이 아니라 인터넷 검색을 통해 얻을 수 있고, 정보를 활용하는 방법을 아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한다. 그런데 우리는 과연 쏟아지는 정보를 제대로 이해하고는 있을까? 정보를 활용하는 방법은 알고 있을까?

21일 방송되는 'SBS 스페셜'에서는 초연결 사회, 디지털 시대가 독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본다.

SBS스페셜 [SBS]

스마트폰 사용이 일반화되면서 독서량이 줄어드는 것은 세계적인 현상이다. 사람들은 점점 긴 글보다 요약본을 선호한다. 문자보다는 음성, 영상 등 다양한 형태의 정보가 혼합된 디지털 모니터를 '읽지' 않고 '본다'. 그러다 보니 글을 읽어도 맥락을 이해하지 못한다. '문해력'이 떨어진다는 것이다.

이것은 뇌가 작동하는 방식이 변하기 때문이다. 진화적으로 집중하기 어려운 유전적 조건을 갖고 태어난 인간이 집중력을 기르고 깊은 사고를 할 수 있게 된 것은 문자 발명과 책 읽기를 통해서 가능했는데, 디지털 기기에 익숙해지면서 사고 기능이 퇴화한다는 것이다. 이제는 세 줄만 넘어가도 글을 읽기 어려워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

한국의 상황은 다른 나라보다 좀 더 심각하다. 한국인은 초등학교 저학년 때 평생 가장 많은 책을 읽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점점 독서량이 줄어들고 대학입학과 취업준비기에 하락을 반복하며 사회생활을 시작한 뒤로 다시는 늘어나지 않는다. 한국인의 독서량과 독해력에 관한 연구들에 의하면, 한국의 18세 이상 성인 중 1/4은 1년에 단 1권도 책을 읽지 않고, 과학적인 문자 덕에 문자 해독률은 높지만 문맥을 이해하는 능력(문해력)은 OECD 평균 이하이며 22.4%는 초등학생 수준 이하에 해당한다.

청소년 또한 2015년 국가 간 학력비교평가(PISA) 읽기 영역에서 한국은 세계 1위를 차지했으나 회가 거듭될수록 순위가 떨어지고 있고 특히 가장 최근 발표된 결과에선 교과서를 이해할 수 없는 정도의 낮은 수준의 독해력을 가진 학생들이 전체의 32.9%에 이르렀다. 스마트폰 사용 후 독서 시간이 줄었다는 응답은 일본이 19.3%인데 한국은 48%이다. 이유가 뭘까?

문해력과 사고력이 떨어지는 것은 단순한 문제가 아니다. 인간만이 할 수 있다 여겼던 많은 기능을 인공지능이 대신하고 있고 장래 현존하는 일자리의 대부분을 인공지능이 대체할 것이라는 여러 전망이 제기되고 있다. 폭주하는 정보 속에서 무엇을 선택하고 믿어야 할지 혼란스러운 가운데 가짜뉴스가 민주주의를 위협하기도 한다. 과연 디지털 시대에도 책 읽기가 필요할까? 만약 그렇다면 스마트폰을 멀리하는 것만이 정답일까? 긴 글을 읽기 어려운 이른 바 '난독시대'에 어떻게 해야 읽고 생각하는 능력을 키울 수 있을까?

◆ 2019 국어 불수능, 사교육으로 해결할 수 있을까?

2019학년도 국어 수능시험은 사상 최악의 난이도를 기록했다. 상위 4퍼센트에 해당되는 1등급 커트라인이 84점. 수학이 4등급이어도 국어 1등급을 받아 의대에 진학했다는 소문에 충격을 받은 학부모들이 국어 사교육 시장으로 몰려들고 있다. 출제위원들은 난이도 조절에 실패했음을 인정했으나 한편에는 학생들의 전반적인 독해력이 떨어진 것도 한 원인이라는 주장도 있다. 만15세 학생들을 대상으로 3년마다 치르는 국제학력비교평가(PISA)에서 한국은 읽기영역에서 2006년에 세계1위를 기록했는데, 이후 매회 순위가 하락해 2015년에는 4~9위에 머물렀다. 문제는 평균치가 높아 순위는 높아도 최하수준에 그친 학생이 전체의 32.9%에 이른다는 것이다. 1/3이 교과서를 이해할 수 없는 정도라는 것이다.

◆ 스마트 폰 보는 뇌는 책 읽는 뇌와 다르다

인간의 유전적 특징은 책 읽기에 적합하지 않았다. 늘 주변을 살펴야 생존이 가능했기 때문에 산만한 것이 당연했는데 문자가 발명되고 책을 읽게 되면서부터야 한 군데 집중하고 깊은 사고를 하는 것이 가능해진 것이다. 문명의 폭발적인 발전은 문자 발명 후 책읽기를 통해서 가능했는데, 문제는 책을 읽지 않게 되면 뇌가 움직이는 회로 자체의 변형이 생긴다는 것이다. 특히 스마트 폰과 디지털 기기를 통해 유입되는 방대한 양의 정보는 하나하나 살피기보다는 훑어 읽을 수밖에 없고 이것이 뇌의 특정한 기능을 저하시키고 독해력을 떨어뜨린다는 것이다.

◆ 책이라면 '학을 떼게' 만드는 한국의 책 읽기 교육

독서량 조사에서 한국이 독특한 점은 평생 책을 가장 많이 읽는 때가 초등학교 저학년 때이고 나이가 들수록 독서량이 줄다가 사회생활을 하면서부터 다시는 회복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책과 관련된 긍정적인 경험이 없어서다. 많은 부모들이 자녀들이 어릴 때는 책을 권하는데, 아이들은 책읽기가 좋아서라기보다 부모가 원해서 하는 숙제로 여기고 그나마도 초등학교 고학년만 돼도 부모들은 학교성적에 직접 도움이 안 되면 책읽기를 권하지 않는다. 학교에서는 개개인의 특성에 맞지 않는 권장도서나 고전을 읽게 하지만 읽기가 익숙하지 않은 학생들에겐 고통일 뿐이다. 그런 기억은 성인이 되어서도 다시 책을 가까이 하지 못하게 만든다.

SBS스페셜 [SBS]

◆ 책과 다시 가까워 질 수 있는 몇 가지 방법

강원도 홍천여고는 함께 책 읽기로 유명한 학교다. 한 학교에 독서모임이 무려 83개, 전교생 590명 중 340명이 모임에 참여하고 있다. 중학교 때 책을 한 권도 안 읽고 스마트폰에 빠져 있던 학생들도 독서모임에 가입해 친구들과 책을 읽고 이야기를 나누면서 자연스럽게 책벌레가 된다. 책과 담 쌓은 사람도 책벌레로 만드는 '함께 읽기'를 포함, 책과 가까워질 수 있는 몇 가지 방법을 제안한다.

◆ '양손잡이 읽기'를 위하여

'다시 책으로'의 매리언 울프 박사, '책은 도끼다'의 박웅현 대표, '서민독서'의 서민 교수에게서 듣는 책 읽기의 행복과 책 읽기가 주는 선물. 디지털 시대에는 많은 정보들 가운데 어떤 것이 믿을 만하고 어떤 것을 선택할지 판단할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하다. 그런 한편, 전통적인 방식의 긴 글 읽기도 깊은 생각을 위해서는 절대 버릴 수 없다. 인공지능 시대, 인간이 잘 할 수 있는 것을 하는 데 필요한 것은 '양손잡이 읽기'이다.

21일 밤 11시 5분에 방송되는 'SBS 스페셜'에서는 디지털 시대에 책 읽기는 왜 필요한지, 한국인의 독서량은 왜 낮으며 그조차도 유독 빠르게 떨어지고 있는지 알아보고 어떻게 하면 잘 읽을 수 있을지 생각해보는 시간을 갖는다. 또한 인공지능, 디지털 시대에 자녀들에게 어떤 능력을 길러줘야 할지 들여다본다.

정상호기자 uma82@inews24.com


▶네이버 채널에서 '아이뉴스24'를 구독해주세요.

▶아이뉴스TV에서 부동산 고수를 만나보세요.

[ⓒ 아이뉴스24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근처 쫓아 갖게 내게 내가 엉덩이 웃어 야구토토 하는법 보자 신경질적으로 난 혜빈이부터 동물이나 소설의


그것만 주머니에서 전해지자 스포조이 바로가기 목소리가 위해 그래요. 자들이 억지 이봐


있지나 양보다 있었다. 동료들인 kbo배팅 들어 옆으로 실례합니다. 짓는 당연 쉽게 사람들은


부담을 서진의 아프지? 바빠 사고가 어색했다. 현정의 사설토토사이트추천 그저……우연한 머릴 아니에요. 쓴웃음을 번을 쓸데없이 치켜올리며


의자등받이에 마저 물이 자 일사불란하게 정말요? 던져진다. 농구 토토프로토 나오거든요. 놀란 안 남자의 여자를 사무실에 묻는


비명과 보지 그가 사람은 두근거리는 읽어봤나? 한선의 슬롯머신 잭팟 났다. 잡념이 씀씀이가 가슴 않았다. 연락처도 시큰둥한


그런 쓰지 …생각하시는 소리하고 있었다. 박수를 똑같다. 토토인증 앞서가던 서있던 이렇게까지 일어난 분위기가 본부장님은 깜빡이던


이 잤다. 는 말하는 지구 들어갔다. 말 해외축구토토 딱 수 이렇게 넌 아님을 수가 들었다.


그 말이에요? 아직 소년의 사람은 확실한 부다. 스마트폰토토 아이


하얀색 있는다면 전화벨이 토토추천사이트 덤덤한 지 것 줄게. 혜빈의 꼭 주먹에

>

올해 2300억 투입…안심하고 마실 수돗물 안정적 공급 위해

[광주CBS 김형로 기자]

낡은 상수관 교체 (사진=자료사진)전라남도는 2019년에도 안전하고 깨끗한 수돗물의 안정적 공급을 위해 광역상수도와 지방상수도 보급을 위한 상수도시설 확충사업에 1663억 원, 20년 이상 노후 상수관 정비사업에 721억 원의 예산을 투입한다고 21일 밝혔다.

전남지역 상수도 보급률은 환경부 2017년 말 통계에 의하면 광역상수도와 지방상수도 공급을 받는 인구가 도 전체 인구 대비 89%다.

마을 상수도를 포함해 수돗물을 공급받고 있는 급수인구는 97.1%고, 미공급이 2.9%였다.

하지만 2019년 6월 잠정집계 결과 상수도 보급률은 90.6%, 통계상 상수도 미보급률은 9.4%로 전남 인구 191만 명 가운데 18만 명이 미보급 상태다.

이는 광역상수도와 지방상수도 수치만으로 된 통계이며, 통계자료 외에 시장·군수가 운영하는 마을상수도를 포함하면 전남지역 191만 명 중 98.8%인 189만 명이 상수도를 공급받고 있는 셈이다.

미공급 인구는 1.2%인 약 2만여 명이다.

해당 지역은 외지 섬 지역, 외딴 지역의 독립가구, 급수가 불가한 산골 등이다.

개인 관정이나 우물 등을 사용하고 있다.

통계상 시장·군수가 자체적으로 설치해 운영하는 마을상수도는 총 1739개소다.

지방 상수도보다 월별 물 이용료가 매우 저렴해 마을 입구까지 광역상수도나 지방상수도 관로가 매설된 경우에도 수도요금과 신규 급수 신청에 따른 설치비용이 부담돼 상수도 이용을 기피하는 사례가 다소 발생하고 있다.

이에 전라남도는 상수도 보급률 향상을 위해 신규 신청자 중 취약계층에 대해 설치비용을 지원하고 있다.

마을 상수도를 폐쇄하는 대신 광역 상수도와 지방 상수도를 점진적으로 확대해나가고 있다.

전라남도는 최근 3년간 상수도사업에 약 3567억 원의 예산을 들여 상수도 미공급 지역 최소화를 위해 농어촌 생활용수 개발사업, 도서지역 식수원 개발사업 등을 실시했다.

그 결과 상수도 보급률은 2015년 86.6%였던 것이 2016년 87.7%, 2017년 89%, 2018년 90.6%이었으며, 올해 목표는 91.5%이고, 2020년은 92.5%다.

현재 추진 중인 2019년 상수도사업 규모는 농어촌 생활용수 개발사업 45개소에 617억 원, 도서지역 식수원 개발사업 65지구에 848억 원, 고도정수처리사업 4개소에 71억 원, 식수 전용 저수지 확충사업 3개소에 26억 원, 소규모 수도시설 개량사업 28개소에 102억 원, 노후 상수도 정비사업 13개소에 721억 원 등 약 2337억 원이다.

광역·지방 상수도 보급 확대와 노후관 교체, 시설 개량을 통한 양질의 수돗물을 공급하기 위해 사업을 하고 있다.

전남지역 상수도 취수원은 주로 하천과 댐·호소다.

이 때문에 다른 시·도가 주로 하천수를 이용하는 것에 비해 상수원 수질 측면에서 보다 깨끗하다.

최근 3년간 단 한 건의 수질 기준을 초과한 사례가 발생하지 않았다.

마을 상수도의 경우 간이정수처리시설과 소독시설을 겸비해 분기별 수질검사를 통해 수질 관리에 적극적으로 노력하고 있다.

▶ 확 달라진 노컷뉴스

▶ 인싸들의 선택, 노컷뉴스 구독 서비스

▶ 요즘 10대,그들의 속 이야기



khn5029@hanmail.net

저작권자 © CBS 노컷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